내용 |
serevent inhaler side effects serevent asthma sprayserevent generic name fyter.cn GPP 도입 = 임의조제? 의료계, "임의조제 부추길 가능성 높다" 약계, "약사의 전문성 강화차원에서 필요"
약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대한임상약학회가 추진하고 있는 '우수약사(藥事)실무기준(=GPP, Good Pharmacy Practice)'과 관련, 의료계가 이 기준에 포함돼 있는 상당수 조항들이 임의조제를 부추길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하고 있다. 지난 22일 숙명여대 약학대학에서는 임상약학회 주관으로 '우수약사실무기준' 공청회가 개최됐다.이날 공청회에서는 '약국의 우수약사실무기준(안)'과 '의료기관 우수약사실무기준(안)'이 발표됐는데 이와 관련 의료계 한 관계자는 "약에 대한 전문인으로서의 전문성을 높이겠다는 목적이겠지만 우리나라에 복약지도를 제대로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는지조차 알 수 없다"며 "환자의 복약지도는 곧 질병상담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의협 한 관계자도 "약사회 내부 지침으로 사용되는 것을 가지고 의료계가 왈가왈부할 수는 없지만 이번에 발표된 우수약사실무기준(안)을 살펴보면 복약지도를 위해서는 환자의 사적 비밀이 보장되는 적절한 공간을 별도로 갖추어야 한다고 돼 있다"며 "너무 확대해석하는 것일지는 모르지만 임의조제가 근절되지 않은 상황에서 복약지도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마련한다는 것에 의심을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또다른 의료계 관계자도 "의약분업 시행 이후에도 근절되지 않고 있다고 끊임없이 문제가 제기되어 온 약사의 불법진료, 임의조제를 부추길 위험성이 크다"며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이러한 상담공간은 본적이 없다"고 지적했다.특히 그는 GPP 인증을 받기 위해 들어가는 비용 등은 고스란히 수가인상 등 의료비 증가를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날 특별강연을 맡았던 고령화 및 미래사회 위원회 김용익 위원장은 "GPP는 약사의 전문성 강화로 이어져 의사의 Clinical Care에 상응하는 Pharmaceutical Care의 활성화가 이뤄질 것"이라며 "이는 곧 의약분업의 완성을 의미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특히 적절한 일반의약품 판매와 복약지도 활성화로 환자의 의약품 오남용 감소도 이뤄질 것이라는 게 그의 주장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 의료계 한 관계자는 "GPP 도입은 현행 의약분업의 실패를 모면하려는 방책이며, 최근 급물살을 타고 있는 약대 6년제 시행 논란에서 약사회 측의 이론적 근거를 찾으려는 시도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