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꿈을 이루는 포인트닉스 :::
 

Home > 메디칼 > News Clip

 
제목 [데일리메디]개원의 "진료지침, 자율성손상 vs 진료도움"
작성일 2005/01/17
내용

lexapro and pregnancy third trimester

lexapro and pregnancy
개원의 "진료지침, 자율성손상 vs 진료도움"

개원의 1157명대상 설문…'진료지침 무엇인가' 개념 혼선

임상진료지침 개발이 활기를 띠고 있는 가운데 개원의들이 바라보는 진료지침에 대한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조사한 연구 결과가 발표돼 관심을 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남순 박사는 14일 '개원의사의 임상진료지침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연구 조사 결과를 발표, 이 같이 밝혔다 .조사는 1175명 개원의를 대상으로 최근 3개월간 우편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임상진료지침의 개념과 활용도 등에 대해 질문했다.그 결과 개원의들이 임상진료지침의 장점으로 꼽은 특징으로는 '환자 진료시 진료방향을 결정하기 어려울 때 도움(86.7%)', 과 '의사 지식 향상에 도움(86.4%)', '의료서비스 질 향상(78.8%)' 등이었다.
반면 부정적 측면으로 지적된 사항은 '의사의 자율성 손상(62.6%)'과 '환례가 달라 임상 결정에 필요없어(59.2%)' 등이 꼽혔다.특히 많은 개원의들은 임상진료지침이 정확히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에 대해서도 혼선을 빚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85%의 개원의들은 국내 의학관련 학회에서 발표하는 지침이 임상진료지침이라고 응답했으나 67%는 여러 종류의 가이드라인을 임상진료지침으로 간주하고 있었다.가장 많이 활용하는 종류로는 학회지에 실린 논문이 26.1%로 가장 많았고 교과서가 17.1%였다.
이에 따라 개원의들의 90% 이상이 임상진료지침시 학회 뿐 아니라 개원의사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김 박사는 "개원의사들은 임상진료지침에 대해 긍정적 인식 뿐 아니라 부정적 인식도 함께 가지고 있었다"며 "개원의의 임상진료지침 사용을 증가시키기 위해 임상진료지침에 대한 교육과 개발과정 참여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협]의협, <환자는 마루타 2> 방송금지 가처분 신청
[의협]“100/100 전액본인부담 앞으로 없애겠다”

COPYRIGHT(C) 2005 POINTNIX. ALL RIGHTS RESERVED
경기도 광명시 일직로 43 GIDC C동 25층
덴탈사업부
TEL : 1600-2369
메디칼사업부
TEL : 1600-1478
대표팩스
TEL : 02)839-4973